인플레이션
안녕하세요 꿀팁저장고 입니다.
오늘 경제 이야기 포스팅은 인플레이션 은 무엇인가입니다.
다들 인플레이션이라는 단어를 뉴스 나 인터넷을 통해서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오늘은 쉽게 한번에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플레이션 이란 쉽게 말하여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인플레이션에는 여러 가지 종류와 원인이 있습니다. 국가가 발전을 하면 소득이 증가하며 상품에 대한 소유가 증가하게 됩니다.
쉽게 말해 몇 년 전에 과자가 500원이었던 것이 지금 현재는 1500원 정도로 오른 것을 보실 수 있으신데요. 이렇게 과자에 가격이 1000원이
상승했으면 1000원을 더 써야 하므로 화폐의 가치는 더 떨어진 거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과자 가격이 오르면서 당연히 다른 필수 생활품의 가격도 오르므로 더 많은 돈으로 필수 생활품을 구입해야 되니 더 많은 돈이 필요로 하고 화폐의 가치가 떨어집니다.
이렇게 물가는 오르고 화폐의 가치는 떨어지는 것이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의 근본적인 원인은 두 가지로 뽑을 수 있습니다.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과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입니다.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제품의 생산비용이 증가하여 제품의 가격이 올라 전반적인 물가가 오르는 도미노 효과가 발생하게 되며
자재비 인상, 부품비 인상, 임금 인상, 상품 가격 인상, 물가 상승이 가속화되어 궁극적으로 물가 상승의 형태를 주도하며 소비자에게 부담이 전가되는 비용 요인입니다.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원인: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원인은 기업이 상품을 생산할 시 상품의 원가가 올라 발생하게 됩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습니다. 원자재 비용 상승, 인건비, 간접세, 환율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국가의 경제가 성장하여 수요는 크게 늘어나 제품에 대한 수요는 많아지고 그에 맞추어 기업이 공급량을 맞추기 위해 가동률을 늘리는 상황에서도 수요를 채우지 못할 시 기업은 공급량 대신하여 상품의 가격을 올리는 것을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국가의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통화량은 많아지고 국민들은 전체적으로 소비와 지출이 증가해 수요가 공급량을 앞설 경우 기업은 가격을 상승하고 전체적으로 물가가 상승한다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원인: 경제가 급속적으로 발전하거나 지속 불가적으로 팽창하여 통화량이 과잉되었을 때 고객의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였을 때
통화정책, 정부 지출, 세율 인하, 소비자 신뢰도, 부동산가격, 수출 급증
'꿀팁저장고 > 생활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해부터 가정양육수당 지원기간을 연장합니다. (0) | 2019.01.13 |
---|---|
생활팁 1가구2주택양도소득세면제조건 알아보기 (0) | 2019.01.08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의 유의사항 알아보기 (0) | 2019.01.05 |
생활팁 부동산매매 6월 1일 전에 팔고, 6월 1일 후에 사야 이득이다? (0) | 2019.01.03 |
생활팁 여러분 용돈통장도 금액이 크다면 증여세가 과세된다는 사실 알고있으세요? (0) | 2019.01.02 |